리서치 정리(경제, 부동산)

231016 부동산 시계열 잠시 훑어보기!!

트래픽 유발자 2023. 10. 21. 12:16
반응형

 

 

 

 

매주 주말의 마무리는 어떻게 하시나요?? 저는 항상 주간 시계열을 확인하며 차분히 시장을 바라봅니다. 시장에 참여는 하지 않더라도 관심이 있게 바라만 봐도 배우는 것이 많으니까요!! 

 

글로 표현하는 것이 참 인생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데 하나씩 쌓아가보도록 하겠습니다.

 

 

 

 

수도권의 시세동향은 6월달경 송파, 과천에서 시작했던 전세가/매매가 상승은 수도권 전역으로 점점 확산하고 있는 모습인데요. 이번주 전세가 흐름은 꽤나 좋은 것 같습니다. 이게 지속되어야 상승을 할텐데요. 앞으로의 금리 흐름은 반대일 것으로 기사들이 나오고 있긴 합니다. 

 

현재 금리와 부동산의 흐름을 종합해보면 2009, 2010년도의 흐름과 비슷한 것 같은데요. 급하지 않고 차분하게 시장을 바라봐야 할 것 같습니다. 

 

https://n.news.naver.com/article/020/0003526333?cds=news_edit

 

한은 총재, ‘영끌족’에 “1%대 금리 기대 마라” 경고

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19일 기준금리를 6차례 연속 3.50%로 동결한 가운데,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기자간담회를 열고 금통위원 전원 일치로 이 같은 결정을 내렸다고 밝혔다. 다만 이 총재

n.news.naver.com

https://n.news.naver.com/article/021/0002599950?cds=news_edit

 

천장 뚫는 미국 금리…주담대 8% 돌파, 증시 하락

미 국채 금리 4.9% 돌파 S&P 500 1.34% 하락 미 국채 금리가 상승세를 지속하면서 2007년 이후 처음으로 연 4.9% 선을 넘어섰다. 국채 금리에 영향을 받는 미 주택담보대출 평균금리(30년 만기 기준

n.news.naver.com

 

 

지방은 세종, 대전에서 확산한 상승 흐름이 주변으로 미세하게 확산하는데요. 이번주는 청주쪽 흐름이 눈에 띄긴하네요. 상승으로의 턴이 확실해진 모습입니다.

 

청주 매매/전세 지수 그래프

 

최근 19년도에서 22년도까지의 상승의 기간이 짧아서 그럴까요?? 최근의 하락은 상당히 급격한 하락으로 보이긴 하는데요. 현재의 금리와 복합적인 상황을 고려해본다면 제 생각은 아래의 1번 아니면 2번의 흐름. 즉, 이전과 같은 유동성은 이제는 볼 수 없을 것이다라는 생각입니다. 어떻게 생각하시나요??

 

청주 매매/전세 지수 그래프